* English translation is below

구조와 제스처
: 오다솔의 회화적 번안과 (재)구성된 세계

신지현 / WESS 공동운영


오다솔 작가의 전시장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왼손으로 그린 그림 혹은 아이의 낙서같이도 보이는, 단색의 펜 드로잉이었다. 복잡하고도 치밀한 구성으로 완성된 회화 작업 <Montage> 연작 사이 단출하면서도 직관적인 이 그림은 작가가 2016년경부터 지속해 온 “프리핸드 드로잉”이다. ‘프리핸드’라는 명칭에서 유추 가능하듯 오다솔의 회화에서 원재료가 되는 건축 형상물의 레퍼런스 이미지를 2~3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그려낸 결과물이다. 으레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 구축하는 회화적 화면과 비견하자면 즉흥성이 두드러지지만 그렇다고 정형성이 완전히 배제되지는 않은 제스처의 발현이라 하겠다. 언제나 레퍼런스가 존재하는 그의 작업이지만 원본성은 그리 중요치 않다. 그저 작업의 출발점으로 기능할 뿐이다. 외려 본래의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에 집중한다. 그사이 탈각되는 구체성은 뒤로 한 채. 순간적 감각에 기반해 빠르게 형상의 구조를 옮기며 (혹은 무너뜨리며) 모종의 추상-화(-化)를 이루어 내는 프리핸드 드로잉은 차후 회화에 일부 편입되기도, 때로는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다층적이면서도 즉각적인 선들이 회화 안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 이는 순서와 계획하에 구조를 이루는 그의 건축-디자인적 회화의 완결성을 일정 정도 무마하는 동시에 긴장을 풀어줌으로써 균형을 맞추는 요소로 기능하게 된다. 구축된 화면 안에서 목격되는 비-구축적 제스쳐로서 프리핸드 드로잉과 재현의 흔적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한편으로 어떤 서사의 가능성을 상상케 하기도 하지만, 작가는 이에 대해서사와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 단언한다.[1]그는 오직 레이어가 만드는 “회화적 공간”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그가 구성하고자 하는 회화적 공간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구축되고 왜 그렇게 구축되어야만 했는지 차근히 살펴보도록 하자.

[1] 서사보다는 구조가 선행하는 세계에 대한 작가적 태도는 작품 제목을 짓는 방식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한데, 현재까지 그의 작품 제목은 모두  “Montage-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연도-숫자 순이라는 규칙하에 일종의 코드와 같이 부여된 일련번호이다. 작업에 따라 붙을 수 있는 일체의 서사성 배제하려는 시도라 하겠다. 


오다솔은 수집한 레퍼런스 이미지를 디지털로 드로잉한 뒤 캔버스로 옮기는 작업 순서를 따른다. 먼저 디지털 화면 안에서 이미지를 자르고 지우며 사진, 색, 선 등이 뒤엉킨 레이어를 짓고, 그 다음 레이어를 차례대로 올리며 복합적 화면을 구성해 나아간다. 이후 실재의 화면, 즉 캔버스로 이동해 직선과 사선으로 마스킹을 하고 물감을 바르거나 프리핸드 드로잉을 감행하며 레이어를 덧댄다. 클릭, 드래그 앤 드롭으로 빠르게 실행하던 일을 붓질을 통해 느리게 할 뿐 디지털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시공이 바뀌는 일 안에서 낙차의 발생은 필연적이고 감내해야 할 과정이 되겠다. 디지털 드로잉을 실재계로 옮기는 과정에서 물감이라는 현존의 물질이 주는 광택, 펄, 질감 등의 간섭은 다시 한번 화면을 원본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며 무너뜨린다. 맞닥뜨리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소화시키는 과정 안에서 그는 점차 “회화적 공간”을 완성해 나아간다. 여기에서 그가 말하는 “회화적 공간”이란 아마 레이어와 레이어 사이를 말하는 것일 것이다. 디지털상에서는 클릭 하나로 손쉽게 끼우거나 지워낼 수도 있는 것이 레이어라고 할 때 별안간 배경지를 바꾸는 일은 ‘공간’, 나아가 마치 순간이동처럼 ‘시공’이 갈아 끼우는 일에 가깝게 느껴진다. 그리고 (공간 아닌) 시공이 변하는 일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본다면, 디지털 이미지를 현존의 이미지로 옮기려는 그의 시도는 다소 납득이 간다. 늙지 않는 디지털 이미지는 실재의 회화로 변환함에 따라 시간의 흐름과 중력의 간섭에 따른 변화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현재 작업의 주요 레퍼런스 이미지로서 작가의 말마따나 “공공 건축물이나 야외 공간과 같이 (내외부적) 구조가 도드라지게 드러나는 건축적 공간”을 선택하는 것은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하기 전 선박 디자이너로 근무한 작가의 경험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선박이라는 휴먼스케일에서 벗어나는 거대한 대상을 디자인하는 일은 공간을 설계하는 동시에 건축물을 짓는 행위와 유사한 감각을 요구한다. 그에게 가장 발달한 근육이자 감각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에 대해 작가는 “나와 상관없는 공간”이라고 표현한다는 점이다. ‘나와 상관은 없지만 익숙할 수밖에 없는 공간’. 잠시 짚어볼 필요가 있겠다. 작업이란 무릇 작가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법이다. 작업에서 개인적 서사가 ‘드러나지는’ 않을지언정 그 영향은 분명 존재하게 마련이다. 오다솔의 경우 이는 작업 저변의 근간을 이루는 기억과 망각의 구조에 대한 탐구와 연관된다. 현재의 작업 세계에서 개인적 서사는 드러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작가이지만, 작업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불가피하게도 잠시 작가의 이야기를 언급하고자 한다. 


3세 이전까지 가족과 이탈리아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작가는 이 시절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고 고백한 바 있다. 그의 최초의 기억은 이탈리아를 떠나 고국으로 온 가족이 이주하던 날, 공항에 내리던 순간 본 풍경과 인물들에 대해 느꼈던 생경한 감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아기 시절 이탈리아에서 찍었던 사진들을 보며 재조합된 기억은 어느 순간 스스로가 정말 그 시절을 기억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게 하였다. 작가는 기억의 구조 혹은 본성이란 온전한 사실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닌 파편화된 기억 조각에 망각 기제가 덧대어지며 재조합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기억의 (내용이 아닌) 구조를 시각화해 보기로 한다. 이때의 작가가 말하는 “나와 상관없는 공간”은 어쩌면 기억 저변에 존재하는 언젠가 가본 적 있는 공간, 혹은 내가 자주 들여다볼 수밖에 없었던(선박 내외부와 같은) 곳에 대한 기억의 편린이 모여 재구성-조합되고 있는 시공인지도 모르겠다. 그가 작업에서 주요하게 구사하는 방법론인 포토몽타주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 방법론은 작가가 생각하는 기억의 본성과 닮아있다. 자르고 흐트러트린 뒤 이어 붙이고 중첩시켜 비슷하고도 다른 화면을 구성해 나아가는 것, 나아가 디지털의 문법으로 (재)구성된 세계를 현존의 이미지로 다시 한번 번안해 내는 그의 시도는 결과적으로 새로운 지형(이미지)에 도착하게 된다. 

다시 프리핸드 드로잉으로 돌아와 보자. ‘최초의 기억’ 이전에 대한 관심, 경험적 사실은 존재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흐릿해져 버린 원형에 덧대어져 재조합된 기억의 본성처럼 그의 작업은 실체를 뒤로 한 채 정형적 추상-화(-畫)로서 존재한다. 그리고 이 사실 앞에서 프리핸드 드로잉은 그 자체만으로 오롯이 명료해진다. 글의 서두에서 필자는 그것에 대해 “왼손으로 혹은 아이가 그린 것 같은”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것은 단순히 엉성하고 거칠다는 의미에 머무는 것이 아닌, 원형으로부터 변형된 그러나 여전히 내 안에 존재하는 한 부분 혹은 시절에 대한 비유이기도 하다. 오다솔의 작업 세계에 대한 입구와 출구로서 프리핸드 드로잉을 눈여겨보아야 할 이유가 되겠다.



Structure and Gesture 

: Dasole Oh's Painterly Variation and (Re)constructed World

Jihyun Shin / Co-curator at WESS


The first thing that caught my eye in Dasole Oh’s exhibition were monochromatic pen drawings that resembled left-hand-drawn pictures or a child's doodles. Amidst a series of intricate and complex paintings titled “Montage”, these drawings stood out with their concise yet intuitive style. They are the result of her ongoing practice of “freehand drawing” since around 2016. As the term ‘freehand’ implies, these drawings, which are rapid interpretations of architectural images, are completed within a brief timeframe of 2 to 3 minutes. (The architectural images themselves also serve as references for her paintings.) In contrast to her paintings, which generally require time and energy to construct, the drawings emanate spontaneity while simultaneously showcasing gestures that do not entirely abandon a sense of form. Although Dasole Oh’s works always have references, she does not place significant importance on their originality. Rather, they only function as a springboard for the artistic process, enabling her to concentrate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images, while allowing concreteness to diminish. In Dasole Oh’s freehand drawings, she employs artistic intuition to swiftly transfer (or deconstruct) the form of structure, resulting in a certain level of abstraction. They are either later partially integrated into her paintings or maintained as standalone pieces. When these immediate and multilayered lines manifest within paintings, the drawings serve as elements that achieve a balance by lessening the sense of completeness and relieving tension within the architectural-design-like painting that is meticulously constructed by deliberate procedures and strategies. The freehand drawings, as the non-constructive gestures witnessed within the constructive composition, combined with traces of representation, evoke a sense of potential narratives. However, Dasole Oh firmly asserts that they are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any narrative.[1] Rather, she is solely interested in the “painterly space” created by layers. Now let us closely examine what process this painterly space she intends to construct undergo and why they are built in such ways.


[1]
 Dasole Oh’s attitude toward a world where structure precedes narrative can be observed also through the way titles are given to her artworks. So far, all of her artwork titles are composed of “Montage-serial number”, following a rule of year-number sequence, resembling a code assigned to them. Thi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exclude any cohesive narrative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works.


Dasole Oh follows a process where she initially engages in digital manipulation of the reference images she has collected, subsequently transferring them onto canvas. First, within the digital screen, she cuts and removes parts of the reference images, constructing layers interwoven with photographs, colors, and lines. She then proceeds to build a complex composition by overlaying the layers. The composition is transferred to the physical canvas later on, where she employs straight and diagonal masking to guide the following application of paints, or engages in freehand drawing. While this process may involve slower execution through manual work compared to the rapid execution achieved through digital processes like clicking, dragging and dropping, it is not fundamentally distinct from what occurs within the digital environment. However, the deviation occurred by the spatiotemporal shift becomes an aspect that must be inevitably tolerated. When digital drawings get transferred to reality, the interference of glossiness, iridescence, and texture, that tangible material like paint introduces serves to once again distance the painting from its original images and dismantle them. Embracing and digesting these encounters, Dasole Oh navigates toward the completion of the ‘painterly space’. When she uses the term ‘painterly space’, she is likely referring to the space that exists between layers within the artwork. Considering that layers can be effortlessly added or subtracted with a mere click in the digital realm, this act of abruptly replacing backgrounds can be likened to the ‘spatial shift’ and even the ‘spatiotemporal shift’ akin to teleportation.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a work that encompasses more than just the spatial shift, but also the spatiotemporal shift, her attempt to transpose digital images into tangible paintings seems reasonable. As the digital images, which do not age, are transformation into physical paintings, they must accommodate the alterations brought about by the passage of time and the influence of gravity.

Dasole Oh mentioned choosing “architectural spaces with prominently exposed structures, such as public buildings or outdoor spaces” as the main reference images for her current body of work. This choice appears to be connected to her previous background as a passenger ship designer before transitioning into the career as a painter. Designing a massive object like a ship, which surpasses the human scale, demands a sensibility comparable to that of designing or constructing architecture. It may have been the most honed muscle for her, and architectural images the ideal medium to apply her sensory abilities. Interestingly, she describes the selected references as the images of “spaces unrelated to me”. It is worth briefly exploring this aspect further – ‘spaces that, despite lacking a direct connection to the artist, carry a sense of inherent familiarity’. Artistic creation usually stems from the artist's ‘experience’. Even if personal narratives may not be explicitly ‘revealed’ in the artwork, their influence undoubtedly exists. In the case of Dasole Oh, this influence is linked to the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memory and forgetting,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her artistic realm. Although she claims that personal narratives do not directly manifest in her current work, acknowledging the artist's personal background is essential to comprehend the overall structure of her artwork.

Dasole Oh had lived with her family in Italy until the age of three and confessed to not remembering that period at all. Her earliest memory revolves around her family's arrival at the airport in their home country after leaving Italy, where she experienced a strange sensation upon encountering unfamiliar landscapes and people. Nevertheless, as she grew older and looked at the photos taken during her childhood in Italy, forgotten memories began to be reconstructed, eliciting a feeling as if she actually remembers that time. Then she started to ponder that the structure or essence of memory is not about a compilation of intact factual information, but rather a process of reassembling fragmented memory pieces intertwined with the mechanism of forgetting. It was at this point that she made a conscious decision to visualize the structure of memory, not its content. Her concept of “spaces unrelated to me” may perhaps refer to the space-time reconstructed and combined with scattered memories of places she has visited before, which exist somewhere in the realm of memory, or even the spaces that she had no choice but to frequently gaze upon, such as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ship. This concept is naturally connected to her primary artistic methodology, photomontage. This methodology aligns with her conception of the essence of memory. By cutting, disrupting, connecting, and layering, she constructs scenes that are both similar and different, with the subsequent attempt to translate the (re)constructed world, created through the grammar of digital creation, into physically existing images. This endeavor ultimately leads her to a new terrain (image).

Now, let’s refocus on her freehand drawings. The interest in the period before ‘the earliest memory’ and the experiential facts exist. However, Dasole Oh’s artwork, similar to memories that have been reassembled and overlaid onto a blurred original form over time, exists as a formal abstraction, leaving its substance behind. In the face of this fact, her freehand drawings become inherently clear in themselves. In the beginning of the text, I mentioned them as “likely to be drawn by a left hand or a child”. It is not merely about being poor or rough; it is an analogy to a part or period that has been transformed from its original state while still existing within oneself. And that becomes a reason to pay attention to Dasole Oh’s freehand drawings as both an entrance and an exit to her creative sphere.


Using Format